- 1억 달러 이상의 GE기술이 2012 런던 올림픽 경기장 및 상업용 빌딩에 적용
- 2006 토리노 동계올림픽, 2008 베이징 하계올림픽, 2010 밴쿠버 동계올림픽, 2012 런던 하계올림픽에 인프라 솔루션 제공
- 2014 소치 동계올림픽 조직위원회, 유연하고 신속한 전력 공급 위해 최첨단 GE 가스 터빈 2기 구매
(2012년 8월 1일, 서울) 올림픽 공식 파트너인 GE는 지난 네 번의 올림픽에서 관련 인프라 기술 및 서비스를 제공해 10억 달러 이상의 매출을 달성 했다고 밝혔다. GE는 2006년부터 올림픽 개최국, 개최도시 및 조직위원회와 긴밀히 협력하며, 올림픽 경기장, 의료시설 및 각종 주변 상업 시설에 인프라 솔루션을 제공했다. GE는 올림픽이 개최되는 도시 인프라를 개선하고 올림픽 참가 선수들을 위한 최첨단 헬스케어 시스템을 제공함으로써, 지속가능한 올림픽을 개최하고자 하는 조직위원회의 목표를 지원했다.
GE의 제프리 이멜트 회장은 "GE는 개최 도시와의 긴밀한 파트너십을 통해 올림픽 개최에 필수적인 의료, 에너지, 전력, 물, 조명, 운송 등의 인프라 솔루션을 제공해 왔다"며, "올림픽 개최는 개최 도시에 변화의 기회이며, GE는 앞으로도 국제올림픽위원회(IOC)와 한국, 러시아, 브라질 등 각국의 올림픽조직위원회와 협력해 최첨단 인프라 솔루션을 제공하고 미래 세대를 위한 지속 가능한 올림픽 개최를 지원 할 것이다."라고 말했다.
런던 올림픽 시설에 제공된 GE의 기술 및 서비스는 다음과 같다.
- 폴리클리닉: 폴리클리닉은 올림픽 참가 선수들에게 최상의 의료 서비스를 제공하기 위한 시설로써, 선수들의 조기진단 및 치료를 위한 MRI등 GE의 첨단 영상진단 장비들을 갖추고 있다. GE는 폴리클리닉에 와이드보어 3T MRI, CT스캐너, 초음파, 디지털 엑스레이, 심전도 장비, IT모니터링 시스템 등을 제공했다.
- 전기차 충전소: GE는 배출가스가 전혀 없는 무공해 전기자동차 운영을 위해 전기자동차 충전소 120개를 설치하였으며, 이 충전시설은 2012런던 올림픽 기간뿐 아니라 그 이후에도 지속적으로 활용 될 예정이다.
- 올림픽 주경기장: GE는80,000여 명 규모의 올림픽 주 경기장에 14,000개의 조명과, UPS(정전 대비 전원 공급 장치)를 공급하였으며, 대형 컨테이너형 스위치기어를 통해 개,폐막식과 육상경기 진행을 지원한다. GE의 임시 스위치기어 솔루션은 주경기장을 비롯한 17곳의 올림픽 경기장에 제공되었다.
- 올림픽 선수촌: 올림픽 선수촌에는 올림픽과 패럴림픽 기간 동안 총 23,000여 명의 선수와 관계자들이 거주할 예정이다. GE 디지털 에너지는 에너지 소비와 탄소발자국을 줄이기 위해 에너지 사용 정보를 알려주는 스마트 미터를 거주시설에 공급했다. GE 파워 콘트롤은 선수촌 아파트에 배전 기기를 공급하며, GE 워터 & 프로세스 테크놀로지는 선수촌에 유수 모니터링 시스템을 제공하고 있다.
- 런던 타워 브리지: GE는 EDF 에너지, 런던 시장, 런던 공사(the City of London Corporation)과 협력하여 런던의 상징인 타워 브리지(Tower Bridge)를 최첨단 에너지 효율 LED조명 시스템으로 새롭게 단장하였다. 런던은 올림픽이 종료된 후에도 25년 간 이 새로운 조명 시스템의 혜택을 누릴 수 있다.
- 벨로드롬: 6,000명 규모의 벨로드롬 경기장에서는 사이클 경기가 열릴 예정이다. GE는 경기 중 전력 공급 중단을 방지하기 위한 UPS(정전 대비 전원 공급 장치)와 경기장 내 전력 분배용 저전압 스위치기어(low-voltage switchgear)를 제공했다.
- 아쿠아틱 센터: 자하 하디드가 설계한 아쿠아틱 센터에서 올림픽 최고 인기 경기가 진행 된다. 이 경기장에는 GE의 UPS(정전 대비 전원 공급 장치)가 설치되어 있어 안정적인 전력 공급이 가능하다.
- 올림픽 파크: GE 라이팅은 올림픽 파크에 25,000여 개의 Tetra PowerMax LED 모듈과 Tetra LED Drivers 등 야간조명을 공급하였다. 또한 올림픽 파크를 비롯한 각종 경기장에 200개 이상의 GE 헬스케어 자동제세동기(AED defibrillator)를 공급해 선수들과 시민의 안전을 지원한다.
- 에너지 센터: 에너지 센터는 올림픽 기간 동안 올림픽 파크에 전력을 공급하며, 올림픽 종료 이후에는 새로 지어질 건물들과 지역사회에 전력 공급 및 냉난방 시스템을 제공할 것이다. 3대의 GE 옌바허(Jenbacher) 열병합 엔진은 올림픽 경기에 필요한 전력을 공급한다. 이번 10메가와트(MW) 규모 프로젝트는 대체 에너지 사용, 물 절약, 재활용 증대라는 2012 런던 올림픽 목표 달성을 위한 초석을 닦는 데 기여한다.
- 필드하키센터: GE라이팅은 15,000명 수용 규모의 올림픽 하키 센터에 건축학적 조명 기법을 제공한다.
2006년~2010년 동안 GE가 참여한 올림픽 경기 인프라 프로젝트
- 2006 토리노 동계올림픽
GE는 토리노 올림픽의 주요 경기장에 다양한 제품과 기술을 제공하였다.
- 올림픽 하키종목이 열린 토리노 에스포지치오니, 스키 회전(slalom) 종목이 열린 세스트리에레 스키장, 스타디오 코무날레 디 토리노에 조명을 설치하였다.
- 연 235,000KWh 이상의 전력소비 절감을 달성한 전기 원자로 300개를 설치하였다. 올림픽 기간 동안 토리노 시에 정전 대비 전원 공급 장치 (UPS)를 제공하였다. - 2008 베이징 하계올림픽
GE는 37곳의 베이징 올림픽 경기장과 베이징 시와 인근 지역에 위치한 168개의 상업 빌딩 등 400여 곳의 인프라 프로젝트를 참여하였다.
- 베이징 올림픽 주경기장("새 둥지")에 안전한 식수와 빗물 재활용을 위한 여과 기술을 제공하였다.
- 50 곳 이상의 올림픽 경기장에 전력을 공급하는 73개의 변전소를 설치하였다.
- 올림픽 센트럴 지역(Olympic Central Area)에 전기를 공급하는 베이징 시 북부의 장베이(Zhangbei) 및 샹이(Shànyi) 풍력 발전단지에 120 대의 풍력 터빈을 공급하였다. - 2010 밴쿠버 동계올림픽
GE는 밴쿠버 지역의 인프라 구축 및 헬스케어 관련 120건 이상의 프로젝트에 참여하였다.
- 올림픽과 패럴림픽에 출전하는 선수 및 관계자를 위해 밴쿠버와 휘슬러에 위치한 첨단 폴리클리닉에 종합 헬스케어 서비스를 제공한다.
- GE가 휘슬러 헬스 센터에 제공한 64-Slice CT 스캐너 장비는 올림픽 종료 이후에도 계속 사용되고 있다. 또한 경기장에 디지털 영상 진단 기술을 제공하여 선수들의 건강상태를 정확히 진단하고 의료진과 트레이너들이 선수들의 경기 복귀 여부를 보다 정확히 판단할 수 있도록 지원하였다.
- 2010 밴쿠버 동계 올림픽 및 패럴림픽 공식 화물업체인 CP Rail은 GE 에볼루션 (Evolution) 기관차 엔진을 통해 이전 엔진 사용 대비 온실가스 배출량을 40%, 연료소비량을 5% 절감하며, 효율적인 운송 서비스를 제공하였다.
향후 올림픽 지원 계획
GE는 현재 올림픽 인프라 구축에 필요한 기술을 제공하기 위해 2014 소치 동계 올림픽과 2016 리오 하계 올림픽 조직위원회와 협력하고 있다.
예를 들면, GE는 소치 올림픽 전력 공급을 위해 첨단 기술의 가스터빈을 제공한다. GE의 최신 배출 기술이 적용된 LMS 100 PB 항공가스터빈 2기를 설치함으로써, 올림픽 기간 동안 필요한 기본 전력은 물론, 피크 타임의 수요까지 충족할 수 있다. 이 새로운 기술의 장점은, 커피 물이 끓는 10분보다 짧은 시간 안에 가동이 가능한 빠른 기동력이다. 이 프로젝트는 유연하고 경제적이며, 효율이 높은 전력 생산에 대한 글로벌 수요가 높음을 보여준다.
***
GE에 대하여
GE는 중요한 일을 구현합니다. 최고의 인재와 기술로 최대 난제를 해결합니다. 에너지, 의료, 가정, 수송과 금융에서 솔루션을 찾아 냅니다. 세계를 짓고 건설합니다. 세상의 동력을 제공합니다. 세계를 이동시키며 치료합니다. 상상을 넘어 행동으로 실천합니다. GE가 실현합니다. 상세 정보는 웹사이트 참조(www.ge.com)
GE에너지 사업부는 품질과 혁신을 기반으로 한 기술과 서비스 솔루션을 제공한다. GE는 새로운 기술에 지속적으로 투자하고 있으며, 지역 내 입지를 강화하고 전세계 고객들에게 보다 나은 서비스를 제공하기 위해 전략적 합병을 통해 성장하고 있다. GE에너지 사업에는 GE 발전 및 물, GE에너지 매니지먼트, GE 오일&가스 등의 사업을 포함하고 있으며, 전세계 약 100,000명 이상의 직원을 두고 있다. 2010년 기준 380억 달러의 규모의 매출을 기록한 GE에너지는 석탄, 석유, 천연 가스, 원자력을 비롯해, 물, 풍력, 태양광 과 같은 각종 신재생 에너지, 대체 에너지 등 에너지 산업 전 영역에 걸친 통합 제품과 솔루션을 제공하며, 21세기 에너지 수요를 충족하기 위한 전력망 현대화 사업을 진행하고 있다. GE Energy 트위터 @GE_Energy
문의
GE코리아
조병렬 전무 (T: 02-6201-3010 / HP: 010-3688-0447)
뉴스커뮤니케이션스
이수경 / 윤영학 / 박도윤 (T: 02-6323-5053, 5074 / HP: 010-5289-7806, 011-9864-9032, 010-3766-0452)
Bill Joh
GE Korea
[email protected]
+8210-3688-0447