새로운 833MW 천연가스 복합화력발전소를 통해 고효율 저탄소 배출 효과 제공
2010년 10월 12일, 평택 -- GE(뉴욕증권거래소 상장)는 국내에서 가장 큰 규모의 열병합발전소에 첨단 기술 장비와 서비스를 공급하는 4억 5천만 달러 이상의 계약을 수주하고, 2분기에 계약을 체결했다고 밝혔다. 현재 경기도 평택에 건설 중인 833메가와트 급 오성 복합화력 발전소는 증가하는 국내 냉난방 및 에너지 수요를 충족하고 국가차원의 온실가스 감축목표를 달성하는데 기여할 것이다.
오성 발전소를 소유한 평택에너지서비스는SK 그룹의 자회사이다. 오는 2013년 1월부터 상업운영될 예정이며, 평택 지역의 상업, 주거 및 산업 시설에 난방과 전력을 공급하게 된다.
박영수 평택에너지서비스 대표는 "올해 국내 냉난방 수요는 작년보다 6% 이상 증가할 것으로 예상된다. 오성 천연가스 열병합발전소는 이런 수요증가를 충족시키는데 기여할 것이다. 견고한 경제 성장과 이상 기후로 에너지 수요가 증가함에 따라, 국내 에너지 수요 또한 7%가량 늘어날 것으로 전망된다. 오성 천연가스 열병합발전소는 GE의 선진 기술을 이용, 추가적으로 국내 약 55만 가구에 더욱 효율적이고 깨끗한 에너지를 공급하여 증가하는 수요를 충족시킬 것이다."고 말했다.
열병합발전소는 단일 연료원으로부터 전력과 냉난방용 에너지를 동시에 생산하여 효율적이고 청정한 방식으로 에너지를 공급한다. 오성 열병합발전소의 주 연료는 한국가스공사가 공급하는 액화천연가스 (LNG)다. 오성 발전소는 GE의 고효율 천연가스연료 7FA 복합화력 기술을 사용, 2020년까지 온실가스를 30% 감축하기로 한 정부 계획을 지원할 예정이다.
겐지 우에니시(Kenji Uenishi) GE에너지 아시아 태평양 사장은 "이번 오성 프로젝트는 한국의 증가하는 에너지 수요를 충족시키기 위해 에너지 효율적이고 친환경적인 해결책을 대규모로 제공하는 GE의 역량을 보여준다. GE는 이번 프로젝트의 열 수요를 충족하기 위해 최첨단 7FA 가스 터빈과 맞춤형 증기 터빈으로 복합화력 기술을 개선했다"고 밝혔다.
이 번 프로젝트의 전체 발전소 건설을 맡은 SK건설과 체결한 GE의 이번 계약은 7FA 가스 터빈 3대, 배열회수시설 3대, D11 증기 터빈 1대, 콘덴서 1대를 포함한다. GE는 또한 장기유지보수 용역 서비스와 발전소 운영 서비스를 제공할 예정이다.
GE의 7FA 가스 터빈은 전 세계적으로 98% 이상의 신뢰도를 자랑해왔다. 이처럼 높은 신뢰도는 고객에게 가스 터빈의 연간 운영일수를 더욱 늘려주면서 총 운영비용을 최소화 하는 효과를 제공한다. 7FA 가스 터빈은 또한 질소산화물과 일산화탄소등 공해물질의 배출량을 줄이는데 선도적인 역할을 하고 있다. GE의 DLN(Dry Low NOx) 2.6 연소기는 질소산화물과 일산화탄소 배출량을 9ppm 이하로써, 배출가스 처리에 대한 필요성을 줄여 잠재적으로는 수백만 달러에 달하는 비용을 절감해 준다.
전 세계적으로 이미 천대 이상의 GE F-테크놀로지 가스 터빈이 보급됐으며, 이들의 총운영 시간은 3천2백만 시간 이상이다. GE의 F-클래스 터빈들은 천연가스, 증류유, 고농도 수소 합성가스, 나프타, 원유, 잔사유(residual oil) 등 다양한 원료가 이용 가능함에 따라, 연료 제공을 용이하게 한다.
GE에 대하여
GE는 전세계가 당면한 가장 어려운 과제해결에 노력하는 인프라, 금융, 미디어 기업이다. GE는 항공기 엔진, 발전, 금융 서비스, 헬스케어 솔루션, TV 방송 사업 부문에 있어 30여만명의 직원들이 100여개 국가에서 일한다. 자세한 내용은 웹사이트(http://www.ge.com) 참조.
GE는 천연 자원을 효과적으로 활용하는 기술을 개발 및 활용하는 에너지 사업을 제공한다. GE에너지는 세계적인 전력 발전 및 에너지 공급 기술선도기업으로서 2009년 370억불의 매출을 올렸고 전 세계 에서 85,000명 직원이 근무한다. 전력물(GE Power & Water), 에너지서비스(GE Energy Services), 석유가스(GE Oil & Gas) 등 3개 사업부로 구성되어 상호 협력을 통해 석탄, 석유, 천연가스, 원자력과, 풍력, 태양광, 바이오가스와 같은 재생에너지원, 기타 대체연료 부문 등 에너지 사업 전반에 걸쳐 상호 연계된 제품과 서비스 솔루션을 제공한다. 보다 자세한 내용은 웹사이트(www.ge.com/energy) 참조.
# # #
문의
뉴스커뮤니케이션스
이수경/공윤진/이성희/서세미
(02-6323-5008/5073/5082/5072
Bill Joh
GE Korea
[email protected]
+8210-3688-0447