Skip to main content
×

GE.com has been updated to serve our three go-forward companies.

Please visit these standalone sites for more information

GE Aerospace | GE Vernova | GE HealthCare 

Press Release

Ge, 2018평창동계올림픽대회에 에너지모니터링시스템(ems) 공급 세계 최초 '스마트 에너지' 올림픽 꿈꾼다

April 03, 2017

 

  • 2018 평창 동계올림픽대회 조직위원회(평창조직위)의 종합운영센터(MOC)에 설치
  • 14개 올림픽대회 시설 내 실시간 에너지 모니터링으로 전력 운영의 안정성과 신뢰도 높혀  
  • 축적된 데이터 분석해 2020 도쿄 하계올림픽대회 및 2022 베이징 동계올림픽대회의 경제적 에너지 운영 계획 수립에 기여

2017년 4월 3일, 서울 - 올림픽 글로벌 파트너 GE는 오는 2018평창동계올림픽대회의 에너지 운영 능력을 제고할 에너지모니터링시스템(Energy Monitoring System, EMS)을 122년 올림픽 역사상 최초로 제공한다고 밝혔다.

산업인터넷 플렛폼 프리딕스 기반의 다양한 솔루션을 제공하는 GE디지털은 심플리시티 및 히스토리안 데이터 수집 솔루션을 기반으로 내년 2018 평창동계올림픽대회가 개최될 14개 올림픽 대회 시설의 전력 사용량과 공급 상태를 실시간으로 확인하고 분석할 수 있는 시스템을 구축한다. 보다 안정적인 에너지 공급과 효율적인 경기 운영을 지원하여 이번 대회가 역사상 첫 번째 ‘스마트 에너지’ 올림픽이 될 수 있도록 지원할 계획이다.

EMS의 실시간 에너지 모니터링은 올림픽 경기장과 경기 운영, 중계 방송 송출을 비롯해 전력이 필수적인 모든 과정에서 전력의 과부하, 공급 불안정 등으로 발생할 수 있는 다양한 문제의 원인을 신속히 진단하고 해결할 수 있도록 돕는다. 평창조직위 종합운영센터(MOC)는 이 시스템을 통해 중앙컨트롤타워로서 보다 원활하고 안정적인 대회 운영을 할 수 있을 것으로 기대된다. 관리자는 원격 감시 시스템을 통해 종합운영센터에서 직관적인 정보 확인이 가능하기 때문에, 전력 공급에 이상이 생긴 경우 사후 대응 작업의 속도가 비약적으로 향상된다.     

PyeongChang%202018%20Main%20Operation%20

 

또한, EMS는 올림픽 경기장에서 발생하는 전력 데이터와 경기장 운영에 연계된 무정전전원공급장치(UPS) 운영 정보도 취합한다. GE디지털의 시스템은 세계 최초로 2018 평창동계올림픽대회에서 경기 기간 중 전력 소모량을 측정하고 경기장별 실제 전력 소비량을 디지털 데이터로 취합한 후, 통합적인 분석을 시도할 계획이다. 관련 자료는 다음 2020 도쿄 하계올림픽대회 및 2022 베이징 동계올림픽대회에 효율적 설비 투자로 인한 비용 절감을 위한 디지털 유산으로 기여하는 방안이 논의되고 있다.    

GE디지털 코리아 조원우 전무는 “EMS는 실제 현장의 에너지 운영 과정에서 큰 편익을 제공할 것이며, 향후 축적된 데이터를 활용하면 훨씬 경제적인 전력계획을 수립할 수 있다. 대한민국 평창에서 개최될 이번 올림픽대회는 전략적 에너지 운영을 선보인 글로벌 선도 사례가 될 것”이라고 밝혔다.    

GE디지털은 오는 10월까지 EMS 설치를 완료하고, 11월부터 연말까지 테스트 이벤트 기간 시운전을 거쳐 내년 2월부터 본격적으로 사용할 수 있도록 할 계획이다. 이 과정에서 데이터 수집 방식과 관리 인터페이스 설계부터 솔루션 구축과 실제 운영에 필요한 인력 등 전방위적으로 지원할 예정이다.

###

GE디지털에 대하여

GE디지털은 기계 데이터를 강력한 분석기법과 연결, 산업 기업들이 보다 효율적으로 자산 관리와 운영을 할 수 있도록 가치있는 솔루션을 제공한다. 전세계적인 인재들과 소프트웨어 역량을 통해 생산성과 효용성, 존속 가치를 제고하도록 돕는다. 웹사이트 (www.ge.com/digital) 참조.


business unit
tags